인터넷 연결 위해서는 ip주소, 서브넷마스크, 게이트웨이 주소 세가지가 꼭 필요
1. IP ?
-
Internot Protocol 의 약자
-
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통신 규약
-
현재 네트워크 IP 주소 체계는 IPv4를 사용
-
각 자리마다 0~255의 숫자 네 개로 구성
1-1. IP Address ?
-
네트워킹이 가능한 장비(PC, 서버장치, 스마트폰, 테블릿PC, ..etc)를 식별하는 주소
-
사용하는 장비에 하나씩 부여되고 이것으로 인터넷이 가능함
-
이러한 장비들이 12개의 고유 숫자가 주어져 아이피주소로 사용됨
-
네트워크 주소(서울시 아파트 —동) + 호스트 주소 (101호)
1-2. 내부 IP 주소 확인 방법
-
같은 공유기에 연결된 기기 제어 or 프린터 공유 등과 같은 작업에 사용 or 공유기에서 포트 포워드 설정 추가에 사용
-
cmd 창에서 확인 : ipconfig 입력

Write a caption
- 오른쪽 하단- 인터넷 아이콘 우클릭 - 네트워크 및 인터넷 설정 열기 - 속성

1-3. 외부(공인) IP 주소 확인 방법
네이버에 ‘내 아이피 주소 확인’ 입력
2. 공인 IP ? 사설 IP(가상IP주소)?
- 공인 IP(Public IP): 공인기관에서 인증한 공개형(Public)IP 주소
- 외부에 공개되어 있어 다른 컴퓨터에서 검색, 접근이 가능한 주소
- 공인 IP 사용하려면 보안 장비(방화벽) 필요
- 가정에서는 인터넷회사에서 보안 서비스 제공함
- 전세계에서 유일한 주소
- 사설 IP(Private IP/ Local IP / Virtual IP): 공인되지 않은 주소
- 하나의 공인 ip를 할당받고 내 컴퓨터는 공유기로부터 ip주소(사설 ip)를 할당받아 인터넷 망에 접속함
- 외부에 공개되지 않아 원칙적으로 외부에서 검색, 접근 불가능한 주소
- 네트워크 망 안에서만 유일한 주소
- 유무선인터넷공유기 사용할 때 부여 받음
- 사용이유?
- IP주소 공유 : IPv4 체계의 IP주소 부족 문제 해결 가능(공유기에 공인IP주소 할당하고 10개 컴퓨터는 가상IP주소 할당해 인터넷에 접속)
- 보안 : 외부에서 검색, 접근 불가능 → 인터넷 공유기가 보안 장비의 역할함(네트워크 방화벽)
3. 고정 IP ? 유동 IP ?
- 고정 IP: 사용자가 직접 IP 주소를 입력해 주소를 설정하는 방식
- 일반적으로는 거의 사용 안 함
- 유동 IP: 주소를 할당하는 서버나 공유기가 보내주는 정보 그대로 컴퓨터에 자동 설정되는 방식
- 컴퓨터가 부팅하면 DHCP서버(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)에 IP주소 할당 요청 → 서버가 해당 컴퓨터에 IP 주소 등의 네트워크 정보를 전달 → 컴퓨터에서 자동 등록, 설정
- DHCP 서비스 : 컴퓨터 수가 많을 때 간편하고 유용
- 이론적으로는 컴퓨터 부팅시(IP 할당 요청) → IP 주소 변경되지만 이전 할당주소 재할당 받는 경우가 더 많음
- 인터넷 공유기가 DHCP서비스는 해주는 역할도 함]
4. 서브넷 마스크 (subnet mask)
- 하위(sub) 네트워크(net)를 구분하는 표기(mask)
- 같은 IP주소 대역이라도 네트워크를 A,B,C 클래스 등으로 구분하는 기준
- IP주소 할당하는 인터넷 서비스 업체가 제공하는 값을 그대로 입력해야 접속이 가능함
- 255.255.255.0는 255로 이루어진 앞의 3칸은 네트워크 식별자이고, 0으로 이루어진 마지막 칸은 호스트 식별자로 쓰겠다는 뜻
클래스 구분
5. 게이트웨이
- 한 네트워크(segment) → 다른 네트워크 이동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지점
-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해 줌 (라우터 등의 주소: 라우터가 가지는 사설 IP가 게이트웨이임)
- 하위계층 (1~3layer : 라우터가 이 역할을 함)
- 상위계층(4~7layer: 프로토콜 간 특수한 변환을 담당하는 복잡한 S/W 를 수행하는 서버를 의미하기도 함)
- 비유: 다른 언어 사용하는 두 사람 사이 통역사 , 다른 화폐 사용하는 두 국가 사이의 환전소
- 일반적인 게이트웨이 주소는 IPv4에서 4번째 옥텟(ex :192.168.1.xxx)만 다른 경우가 많음
- 인터넷 접속하기 위해 수많은 게이트웨이 거침
- 거치는 게이트웨이의 수 = 홉 수 (hop count)
- 집 → 공유기 → 인터넷 제공 회사 라우터 → 인터넷망
6. 포트 포워딩
- 80번포트로 들어오면 1번컴퓨터, 22번포트는 2번컴퓨터 이런식으로 지정해 주는 것
'일기장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카운트 업 (0) | 2023.08.01 |
---|---|
쿠키와 세션 (0) | 2023.08.01 |
#3. AWS를 사용하기 위한 도구에 대한 기초 (0) | 2023.07.31 |
2. AWS 이해하기 위한 클라우드와 네트워크의 구조 (0) | 2023.07.29 |
#1. 아마존 웹 서비스 기초 지식 (0) | 2023.07.2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