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일기장

#3. AWS를 사용하기 위한 도구에 대한 기초

1. AWS 의 사용법과 계정

- AWS 서비스는 사용한 만큼 지불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으면 불필요하게 확보하지 않도록 한다.

- 상황을 보고 서비스 사용을 자주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. 

- 필요한 서비스만 조합해서 사용한다. 

 

서비스 관리가 가능한 여러가지 기능

  • 관리 콘솔 : 서비스 설정 화면.
  • CLI : 관리 콘솔에서 할 수 없는 것도 가능하며 명령어로 조작 가능하다.
  • IAM: 사용자 계정이며 그룹이나 정책 등을 일괄로 관리 가능하다.
  • 비용 관리: 비용을 그래프 등으로 확인 가능 하다. 예산에 따라 관리 가능하다.
  • CloudWatch: 감시도구. 임계 값을 넘는 경우 조치를 취할 수 있다. 

 

2. 관리 콘솔과 대시보드

관리 콘솔: 웹 브라우저에서 AWS 서비스를 관리하는 화면이다. 서비스 설정, 지역 선택, AWS 계정 관리, 서비스나 리소스 그룹의 검색과 사용, AWS  문서의 참조 등 다양한 관리를 수행한다. 

 

리전(지역) 선택

관리 콘솔은 지역 단위로 조작하는데 같은 EC2 서비스라도 다른 지역이라면 다른 것으로 간주한다. 

오른쪽 상단에 리전(지역)선택 및 변경이 가능하다

 

대시보드는 서비스를 조작할 수 있는 메인화면을 말하며, 예를 들어 EC2 대시보드, S3 대시보드가 있다.

대시보드에서는 서비스 시작, 종류, 각종 설정, 상태에 대한 표시 등이 있다. 

EC2 대시보드

 

3. AWS IAM과 접근 권한

AWS IAM : Identify and Access Management(ID와 접속 관리)의 약어로 AWS의 인증 기능이다. 

IAM사용자, IAM 역할은 최소한의 기능을 부여하고 필요한 사람에게만 전달해 운영하는 것이 기본이다. 사용자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는 구조이다. 

IAM 정책을 설정하고 이 정책과 연결할 IAM 그룹(IAM 사용자들) 을 연결시키거나 IAM 사용자를 연결시킨다.  

 

 

4. Amazon CloudWatch: Amazon EC2의 리소스 상태 감시

설치한 시스템이나 소프트웨어에 대한 감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사용한다. 

AWS 서비스의 리소스 모니터링과 관리를 담당하는 서비스이며, 각 서비스의 동작을 평가하고 로그를 수집 및 기록한다. 

기본 요금은 없고 종량제 요금제로 사용한 만큼 지불한다. 

예를 들어 AWS리소스(EC2, Route53, DynamoDB, RDS)를 사용중일 때 이들의 상태를 CloudWatch가 기록하고 특정 임계값을 넘으면 알리게 된다. 

5. AWS Billing and Cost Management: AWS 의 비용관리

비용과 관련해서 요금 납부, 사용료 모니터링, 비용/사용 현황 보고, 서비스해지 등이 가능하다

  • 청구서: 매월 청구서 및 사용 중인 AWS 서비스의 상세 내역 확인 가능
  • 요금 대시보드: 지출 현황, 비용 경향 등 확인 가능
  • AWS Cost Explorer: 시간에 따른 비용과 사용량을 가시화, 파악, 관리 가능
  • AWS Budgets: 비용 및 사용량에 사용자 지정 예산을 설정해 특정한 조건에 알림 발송
  • 비용 및 사용 보고서: 비용과 사용량에 대한 자세한 데이터 열람 가능. 사용 현황에 대한 자세한 데이터가 1일 1회 CSV 형식으로 S3 버킷에 저장되고 이 정보를 Athena, Redshift, QuickSight  등의 임의의 집계/통계 도구로 보내는 것도 가능하다.

6. 리전과 가용 영역

리전은 AWS가 전세계에 가지고 있는 서버와 데이터 센터에 대한 지리적 분류이다. 각 리전에는 물리적으로 독립된 설비로 설치되어 있다. 각 리전에 따라 제공하지 않는 서비스가 있는 경우가 있어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다른 리전을 선택할 수도 있다. 

'일기장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쿠키와 세션  (0) 2023.08.01
IP Address  (0) 2023.08.01
2. AWS 이해하기 위한 클라우드와 네트워크의 구조  (0) 2023.07.29
#1. 아마존 웹 서비스 기초 지식  (0) 2023.07.29
brew 로 java8 설치하기  (0) 2023.03.2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