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방송대/운영체제

3강. 프로세스 스케줄링 스케줄링 : 여러 가지 작업의 처리순서 결정 프로세스 스케줄링: 주어진 프로세스 처리 순서를 결정 스케줄링 단계 상위단계 : 작업 큐에 있는 작업을 선택 해 프로세스를 생성한 후 프로세스 준비 큐에 전달 중간단계 : 프로세스를 일시적으로 메모리에서 제거해 중지시키거나 중지된 프로세스에 다시 메모리 할당하여 활성화. 하위단계 : 준비 큐에 있는 프로세스 선택 해 사용 가능한 CPU에 할당 스케줄링 목표 1. 공정성 : 모든 프로세스가 적정 수준에서 CPU작업을 할 수 있게 하는 것 2. 균형성 : 시스템의 자원들이 충분히 활용될 수 있게 하는 것 스케줄링 정책 1. 선점 스케줄링 정책 : 실행 중인 프로세스에 인터럽트를 걸어 사용하지 못하게 한 후 뺏어서 다른 프로세스에 CPU 할당하는 방식. 높은 우선순.. 더보기
3강. 프로세스 스케줄 스케줄링 : 여러 가지 작업 중 처리 순서를 결정하는 것 ex) 프로세스 스케줄링, 디스크 스케줄링 1. 프로세스 스케줄링 : 주어진 프로세스가 여러 개인 경우, 프로세스의 처리 순서를 결정 작업큐에 시스템에 작업들이 들어 옴 -> 상위단계 스케줄링: 요청이 들어온 작업을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게 스케줄링함 -> 하위단계 스케줄링: cpu할당 기다리면서 각 프로세스를 cpu에 할당하는 것 -> 중간단계 스케줄링: cpu에 너무 많은 부하가 있을 때 잠시 프로세스를 대기시켜놓는 것 하위단계 스케줄링: - 준비 큐에 있는 프로세스를 선택해 사용 가능한 cpu에 할당(디스패치) 스케줄링 목표 - 공정성 : 모든 프로세스가 적정 수준에서 cpu 작업을 할 수 있게 함 - 균형 : 시스템 자원이 충분히 활용될 .. 더보기
2강. 프로세스, 쓰레드, 그 둘의 관계 1. 프로세스 : 실행 중인 프로그램 윈도우즈의 작업관리자 : 현재 내 PC에서 동작하는 프로세스의 정보를 알려줌 현재 사용하고 있는 프로세스가 얼만큼의 CPU, 메모리, 디스크, 네트워크을 사용하는지 나타냄 PID (프로세스 아이디) : 프로그램은 고유의 실행하는 동안 고유의 PID를 가짐 프로그램: 동작을 하지 않는 정적, 수동적 개체 프로세스: 동작을 하는 능동적 개체 프로세스는 운영체제로부터 자원(CPU, 메모리, 입출력장치, 파일 등)을 할당받아 동작(CPU가 프로세스의 명령을 실행) 운영체제(프로세스 관리자)가 해야할 일 - 프로세스 생성, 종료, 실행을 위한 스케줄링 작업, 상태관리 프로세스의 구성(2가지) 1. 메모리 구조 : - 프로그램 실행에 필요한 코드(프로그램 자체)와 - 데이터(프.. 더보기